오늘은 HTTP가 무엇인지, 호스팅이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작성해놓은 저번 글들을 참고하시면 해당 글을 읽을 때에 도움이 됩니다.
1. 인터넷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 2. 도메인 주소란? coding-dong-dang.tistory.com/25
3. DNS와 작동 원리 coding-dong-dang.tistory.com/26
4. 웹 브라우저와 웹의 작동 원리 coding-dong-dang.tistory.com/27
1 HTTP란 무엇인가
HTTP란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프로토콜이란 일종의 통신 규약으로, 쉽게 말하면 규칙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HTTP라는 규칙 안에 모든 웹이 작동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특히, 에러 해결 시에 HTTP 지식이 쌓여있다면 정말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TTP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흔히 발생하는 에러들은 숙지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은 모든 HTTP 에러 코드를 공부하는 것은 이르니, 나중에 추가적으로 아예 따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단한 개념만 익혀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호스팅은 무엇인가
호스팅이란 서버의 전체 혹은 일부를 임대해주는 서비스를 뜻합니다. 다양한 사용자(클라이언트)들이 있기 때문에 이용 시간이 다양한만큼 보통 서버는 24시간 내내 켜져있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그런데 이 '서버'라는 것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24시간 내내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해야 하고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회선을 사용해야 하고, 물리적으로나 논리적으로나 철저하게 보안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야합니다.
듣기만해도 쉽지는 않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이나 중소기업이 서버를 관리하기 보다 전문 업체의 호스팅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3 호스팅의 종류
호스팅의 종류는 크게 3가지로 '웹 호스팅', '서버 호스팅', '클라우드 서버' 정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웹 호스팅
하나의 서버로 여러 도메인을 나누어 사용하는 개념입니다. 나누어 사용하는 만큼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고, 호스팅 업체의 통합 관리를 받기 때문에 관리도 용이합니다. 그러나 사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가 제한적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2) 서버 호스팅
서버 호스팅은 고객이 단독 서버를 임대하는 형태입니다. 넓은 하드웨어 공간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 운영/관리에 대한 직접적인 권한을 가질 수 있습니다. 더불어, 다른 기업들과 나눠 하나의 서버를 나눠 사용하는 웹 호스팅에 비해 데이터 전송 속도가 우수합니다. 그러나, 단독으로 사용하는만큼 비용도 높은 편입니다. 주로 대규모 데이터를 다뤄야하는 기업들이 사용하기 좋습니다.
3) 클라우드 서버
사실 클라우드 서버는 호스팅 하나로 묶기엔 너무 광범위 해졌으나, IaaS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IaaS란 쉽게 말해 인프라를 대여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말합니다. 즉, 서버 호스팅을 대여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차별점이 무엇이냐면 '가상화'한 것에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버는 가상 서버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유동성 있게 서버의 자원을 늘리고 축소할 수 있는 점에서 서버 관리의 유연성을 증가해준다고 평가 받고 있으며,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 서비스입니다. (사용한만큼 금액을 지불하기 때문에 금전적인 면에서도 관리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리적인 서버의 오류가 생기면 연결되어 있는 모든 가상 서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 버튼 꼭 눌러주세요!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ntend-Network] 4. 웹 브라우저와 웹의 동작 원리 (0) | 2020.12.30 |
---|---|
[Frontend-Network] 3. DNS와 작동 원리 (0) | 2020.12.29 |
[Frontend-Network] 1. 인터넷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 2. 도메인 주소란? (0) | 2020.12.28 |
[Network] 신호의 개념, 데이터 전송 시 고려 사항, 부호화 (0) | 2020.12.15 |
댓글